125년 4월 14일 [월요일]
 
 
 
home>마포>?
 
작성일 : 12-07-19 16:55
유명무실 새마을문고, 연간 18억 예산지원에도 이용율은 20%미만, 마포구(4.7%) 등 3개 구의 평균 이용률은 채 5%도 안돼 …
 글쓴이 : 편집부
조회 : 5,346  

□ 서울시 각 자치구별 새마을문고 주민이용률 조사결과, 16개 자치구(64%) 주민이용율 20% 미만. 그 중 7개 자치구는 10%에도 못 미쳐.

○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새마을문고 이용률이 평균 20%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 남재경 서울시의원(종로1/새누리당)은 최근 2011년 서울시 각 자치구별 새마을문고 이용현황을 조사, 전체 25개 자치구 중 절반이 넘는 16개 자치구의 새마을문고 평균 이용률이 20% 미만이었으며, 이 중 특히 성북구(3.5%), 동대문구(4.4%), 마포구(4.7%) 등 3개 구의 평균 이용률은 채 5%도 안 된다고 밝혔다. 동작구(6.9%), 은평구 (7.8%), 종로구(7.9%) 강북구(9.9%) 등 4개 자치구의 이용률도 10%를 넘지 못했다. 평균 이용률이 50%를 넘는 곳은 중구(65.5%) 단 1곳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도서대출과 열람을 합친 이용률이기 때문에 실제 도서대출만을 통한 문고 이용률은 이보다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 조사결과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현재 서울시에 소재한 새마을문고는 총 380여 곳. 자치구별 평균 15곳의 새마을문고를 보유하고 있다. 새마을문고가 가장 많은 곳은 송파구로 24곳이 있었으며, 중구와 용산구는 8곳으로 가장 적었다.
○ 각 자치구별 새마을문고 도서보유량은 새마을문고 1곳당 평균 7,553권으로, 중구(13,013권), 서초구(11,514권), 노원구(10,612권), 도봉구(10,457권), 영등포구(10,386권), 성동구(10,379권) 등 소재 새마을 문고가 평균 1만 권을 넘게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 동작구(3,041권), 동대문구(3,438권), 은평구(3,466권), 종로구(3,774권), 강북구(4,355권) 등에 소재한 새마을문고 1곳당 도서보유량은 5,000권도 되지 않았다.
□ 예산지원은 이용률과 상관없다? 주민이용률 4.7%인 마포구의 예산지원액은 25개 자치구 중 10위. 2011년 도서기부와 도서교환이 전무한 자치구도 4곳이나.
○ 금번 조사에서는 새마을문고에 대한 예산지원이 주민이용률과 무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마포구의 경우 이용률이 4.7%(23위)에 불과함에도 예산지원액은 8,600만 원(10위)이였으며, 도봉구와 관악구도 이용률은 각각 15.6%와 14.6%로 평균 이하였으나, 예산지원액은 1억 7,600만 원(2위)과 1억 5,024만 원에 이르렀다. 반면 서대문구는 이용률은 41.4%(3위)로 매우 높았으나, 예산지원액은 3,100만원(21위)에 불과했다.
○ 예산지원액이 큰 자치구의 경우 도서보유량이 다른 자치구에 비해 많았다. 실제 연간 예산지원 규모가 큰 상위 5개 자치구인 노원구(약 2억 원), 도봉구(약 1억 7,600만 원), 중구(약 1억 6,100만 원), 관악구(약 1억 5,000만 원), 구로구(약 1억 2,200만 원)는 대부분 새마을문고 1곳당 도서 보유량이 1만 권을 상회했다. 반면 예산지원규모 하위 5개 자치구인 은평구(약 770만 원), 동대문구(약 2,130만 원), 종로구(약 2,650만 원), 강북구(약 2,790만 원), 중랑구(약 3천만 원)의 도서보유량은 대부분 5,000권 미만이었다.
○ 이에 대해 남 의원은 “도서보유량이 많은 자치구에 예산지원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예산편중현상이 가중되고 있다.”며, “새마을문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용률과 도서보유량을 고려해 새마을문고에 대한 지원액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예산지원이 적어 도서보유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고, 도서보유량이 적어 이용률이 점점 떨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새마을문고 예산지원액 재조정과 함께 도서기부문화 확산을 위한 서울시와 자치구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이 남의원의 설명이다.
○ 한편 금번 조사결과 각 자치구별 도서기부 현황 역시 큰 편차를 보였다.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동작구, 마포구, 중랑구, 광진구, 성동구, 종로구, 은평구 등 10개 구는 2011년 한 해 동안 각 2,000권 이상의 도서기부가 이루어졌던 것에 반해, 용산구, 강북구, 도봉구, 구로구 등은 단 한 권의 도서기부도 없었다. 이 밖에도 성동구, 광진구, 동대문구, 중랑구, 관악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 8개 자치구를 제외한 17개 자치구의 새마을문고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도서교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도서 훼손에 따른 이용률 저하도 우려되는 등 새마을문고에 대한 종합적인 재정비와 발전계획의 수립이 절실히 요청되었다.


 
   
 

2025 년 4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광역소식
마포구, 대한민국 지방자치 …
마포구의회 백남환 의장, 쓰…
마포구 민선 8기 2년간 구정 …
마포구의회, 제268회 제1차 …
마포구, 홍대에서 한강까지 …
마포소식
..

[마포]   정치  |   경제  |   사회  |   자치행정  |   여성·교육  |   문화·예술  |   [전국]   정치  |   경제  |   사회  |   자치행정  |   여성·교육  |   문화·예술
[생활정보]     [커뮤니티]   독자의소리  |   자유게시판  |   우먼파워     [자료실]       [기사제보]     [공지사항]
회사소개  |   광고안내  |   기사제보  |   제휴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고객센터